|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Exerc Sci > Volume 31(3); 2022 > Article
필라테스 운동과 코어안정성 운동이 노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낙상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8-week Pilates and core stability exercises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risk of falls in older adult women.

METHODS

A total of 49 healthy women over 60 years of age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Pilates exercise group (PG, n=17),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CSG, n=17), and control group (CON, n=12). Pilates and core stability exercise programs were applied in each group for 8 weeks. Before and after the two exercise programs, BMD, 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Tinetti POMA), and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MD among the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exercise program. The balance scores of the Tinetti POMA and total Tinetti POMA scores in both the PG and CSG were higher after the 8-week exercise program. In particular, the gait score of the Tinetti POMA in the PG was higher than that in the CSG.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ies improved in both the PG and CSG.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ilates and core stability exercises can be effective for improving balance ability, leading to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adult women.

서 론

여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난소기능이 쇠퇴하고 뼈흡수 ·형성의 항상성 유지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는데[1], 이는 골질량 감소와 뼈의 미세구조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골다공증(osteoporosis)으로 이어지게 된다[2]. 골다공증은 허리뼈(lumbar)와 넙다리뼈목(neck of femur) 등의 취약골절(fragility fractures)의 발생위험도를 높이게 되는데[3], 골절위험도와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의 역선형적(reverse-linear) 관계에 따라 골절위험도가 중등도 수준인 골감소증(osteopenia)에서도 취약골절의 높은 위험도를 보인다[4].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으로 인한 취약골절은 신체적 및 사회적 활동을 제한하고 금전적인 부담을 겪게 하며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5].
노년여성은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호르몬대체요법 (hormone replacement therapy) 등을 사용하지만,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유방암, 혈전색전성 질환, 뇌혈관 질환 등의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보고되어 호르몬대체요법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새로운 대체요법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실정이다[6].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대체요법 중 하나인 운동은 기계적인 자극(mechanical stimuli)을 통해 골질량을 유지하고 뼈소실의 속도를 늦추는 데에 권장되는 방법으로[5,7], 많은 메타분석 연구와 고찰연구에서 운동이 골밀도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5].
낙상(falls)은 노인에게 흔하게 발생하는 사건으로, 노인증후군(geri-atric syndrome)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며 노인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노인들은 낙상으로 인해 건강과 독립성 및 생명안전을 위협받기도 한다[8].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의 전 세계 노인 낙상예방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들의 낙상사고 빈도는 나이와 몸이 쇠약해지는 정도에 따라 증가하는데[9], 65세 이상 노인 중 3분의 1 이상이 매년 낙상사고를 경험하며[10],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노인의 낙상원인은 하체의 근력저하와 시각 및 전정기능 저하, 둔감함, 체위성 저혈압 등과 관련이 있지만 가장 큰 위험요인은 균형능력 저하와 보행장애이다[12]. 균형능력이 저하되고 보행장애를 경험하는 노인들은 낙상에 대한 심리적 긴장과 공포감을 유발하게 되어 걷기, 화장실 사용, 계단 오르내리기 등 일상활동에 심각한 제한이 발생하여 독립성이 저하되고 삶의 질을 위협받게 된다[12]. 노인들의 낙상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일어서서 걷기(Timed Up & Go)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중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Tinetti POMA)는 근골격계 기능, 균형능력, 자세조절 및 보행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임상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버그균형척도(Berg’ s balance scale) 검사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91) 노인을 대상으로 우수한 신뢰도(ICC=0.75–0.97)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3].
세계적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운동을 통해 골밀도감소 속도를 저하시키고, 노인의 균형과 신체활동능력을 향상시키며 낙상사고를 예방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14]. 실제, 80세 이상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2년간 근력강화운동과 균형운동 및 걷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노인 신체활동점수(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가 증가하여 노인 신체활동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보고되었고[15], 65-80세 노인을 대상으로 10주간 균형운동과 저항운동을 실시한 결과 보행과 균형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무릎 폄근(extensor)의 등척성 근력이 증가된다고 보고되었다[16]. 또한 한 고찰 연구에서는 유산소성과 무산소성 및 고유수용성(proprioceptive) 운동요소를 포함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노인의 정적 균형능력을 향상시켜 낙상의 위험을 감소한다고 설명하며[17], 노인의 운동참여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코어안정성(core stability) 운동은 배곧은근(rectus abdominis),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및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 등 몸통(trunk)근육의 근력과 운동 조절 능력 향상을 통해 자세 안정성을 향상하는 운동인 반면 필라테스는 체중을 이용하거나 리포머(reformer)와 같은 특정 기구를 사용하여 움직임을 인지하고 이를 조절함으로써 심부 코어 근육(deep core stabilizer)을 강화하는 동시에 유연성(flexibility)과 동작의 정확성(precision) 및 호흡(breathing) 등을 강조하는 운동으로[1820], 두 가지 운동 모두 체력과 자세 유지, 유연성 및 균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21,22]. 70세 이상 노인들 대상으로 12개월 동안 코어안정성운동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이 향상된다고 보고되었고[23], 평균 69세인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한 필라테스 운동 또한 균형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하고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하며, 자세 안정성(postural stability)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설명하였다[21]. 덤벨 등과 같이 외적인 부하를 활용하는 전통적인 운동방식인 저항운동은 노인에게 있어 운동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도 있으므로, 체중을 이용한 필라테스 운동과 운동 제어(motor control)를 통한 코어안정성 운동이 노인들에게 더 적합할 수 있다고 설명되고 있으나[18,22], 노인의 균형능력 향상과 낙상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데에 어떤 운동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설명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계된 8주간 필라테스 운동과 코어안정성 운동이 노년기 여성의 골밀도와 낙상 위험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노년기 여성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년기 여성 중 심장병, 고혈압, 하지 골절 또는 수술 및 기타 본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 없는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들은 후 자발적 참여의사와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5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수는 G-Power analysis program 3.1.9.4를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유의수준 .05, 검정력 95%, 효과 크기는 0.3으로 하여 최소표본 크기 40명이 결정되어, 본 연구에서 대상자 수는 충분하였다. 무작위배정기법을 사용하여 필라테스운동그룹(PG)과 코어안정성운동그룹(CSG)과 대조그룹(CON)으로 분류하였으나, 사후 측정 절차에서 CON 중 5명의 탈락자가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PG (n=17)와 CSG (n=17) 및 CON (n=12)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Subject characteristics
Age (yr) Heigh (cm) Weight (kg) BMI
PG (n=17) 63.53±4.98 159.94±4.67 60.10±7.75 23.48±2.86
CSG (n=17) 63.18±3.34 160.76±6.26 62.72±8.40 24.23±2.68
CON (n=12) 63.65±4.20 156.33±4.60 55.89±6.24 22.71±1.93
Between groups F=0.350, p=.707 F=2.652, p=.082 F=3.065, p=.057 F=1.232, p=.302

Values express as mean±standard deviation.

PG, Pilates training group; CSG, core stability training group; CON, control.

2. 측정절차 및 측정도구

1) 골밀도 검사

골밀도는 골밀도 측정장비(Discovery DXA System, HOLOGIC, USA)를 사용하여 골밀도 진단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에 의해 첫 번째 허리뼈(lumbar)부터 네 번째 허리뼈 사이를 측정하였고, 골밀도값(g/ cm2)을 산출하였다[24]. 산출된 골밀도값을 근거로 건강한 30-35세의 최고 골밀도값에 대한 상대값인 T-score과 동일 연령대의 골밀도값에 대한 상대값인 Z-score을 계산하였다[25].

2)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

노인들의 낙상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1986년 Mary Tinetti [26]가 개발한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Tinetti POMA)를 사용하였다. Tinetti POMA는 균형부분과 보행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균형부분은 9개 항목에 대해 16점 만점으로 되어있고, 보행부분은 7개 항목에 대해 만점 12점으로 되어있다. 총 점수가 24점 이상일 경우, 넘어질 위험이 없다고 판단하고, 총 점수가 19-23점일 경우에는 넘어질 위험이 있을 수도 있다고 판단하며, 총 점수가 19점 이하일 경우에는 넘어질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13].

3) 균형능력 평가

정적 및 동적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Korebalance® Balance System (SK-650-TS, Sportkat, USA)을 사용하였다. 정적균형능력은 대상자가 무릎을 약간 구부린 자세로 지지판 위에 양발로 선 상태에서 모니터에 나타난 중력중심(center of gravity)이 정가운데(+로 표시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교육하였고, 동적균형능력 역시 대상자가 무릎을 약간 구부린 자세로 지지판 위에 양발로 선 상태로 균형을 잡은 후, 모니터의 붉은 점을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큰 원을 그리도록 교육하였다[27]. 각 검사는 30초간 측정하여 중력중심의 편차를 통해 점수화되고, 높은 점수일수록 균형능력이 낮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27]. 선행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방법은 버그균형척도(Berg’ s balance scale) 검사 및 일어서서 걷기(Timed Up & Go) 검사와 중등도 상관관계를 보여(각각 r=−0.30~−0.38과 r=−0.30~−0.42), 중등도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는다고 설명하였다[27].

3. 운동프로그램

필라테스운동과 코어안정성운동은 웜업(10분)과 쿨다운(10분)을 포함하여 50분간 수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8주간 주3회를 실시하였다. 대조그룹은 특별한 식이조절 없이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1)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몸통, 허리, 복부 및 엉덩이의 심부근육(deep muscle)을 강화하는 기본적인 동작으로 구성하였다[28]. 1-3주차는 피트니스 매트(fitness mat) 위에서 진행하였으며, 4-6주차는 척추교정기(spine corrector)위에서 진행하고 7-8주차는 리포머(reformer)위에서 진행하였다(Table 2).
Table 2.
Pilates program and Core Stability programs
Pilates Program Core Stability Program
1st-3rd week 10 min Warm-up
Fitness mat Fitness mat
      Chest lift: 10 rep∗3 set      Curl up: 10 rep∗3 set
     Saw: 10 rep∗3 set one-leg stretch: 10 rep∗3 set      Side bridge: 30 s∗3 set
     Leg pull front: 10 rep∗3 set      Quadruped: 10 rep∗3 set
     Plank: 30 s∗3 set
10 min Cool down
4th-6th week 10 min Warm-up
Spine corrector Balance pad
     Spine exention-back bend: 10 rep∗3 set      Curl up: 10 rep∗3 set
     Side sit ups: 10 rep∗3 set      Side bridge: 30 s∗3 set
     Spine flexion and extension: 10 rep∗3 set      Quadruped (balance pad∗2): 10 rep∗3 set
     Dead bug: 10 rep∗3 set (back of spine corrector)      Plank (balance pad∗2): 30 s∗3 set
10 min Cool down
7th-8th week 10 min Warm-up
Reformer BOSU ball, Swiss ball
     Footwork + leg press: 10 rep∗3 set      Curl up (BOSU ball): 10rep∗3set
     Supine arms series: 10 rep∗3 set      Side bridge(BOSU ball): 30s∗3set
     Leg press series: 10 rep∗3 set      Quadruped(Swiss ball): 10rep∗3set
     Spine extension + lat pull: 10 rep∗3 set      Plank (BOSU ball∗2): 30s∗3set
10 min Cool down

∗30s interval between sets and rest for 60s among exercise.

2)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몸통의 근력과 운동 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동작으로 구성하였다[19]. 1-3주차는 피트니스 매트 위에서 진행하였으며, 4-6주차와 7-8주차는 소도구(balance pad, bosu ball, swiss ball 등)를 사용하여 진행하였다(Table 2).

4. 자료처리

본 연구의 얻어진 모든 자료는 SPSS 23.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룹 간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LSD 검정을 사용하여 사후검정(post hoc)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를 사용하였고, 그룹 내 프로그램 적용 전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ried t-test)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1.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골밀도 변화

8주간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과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골밀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집단 간 및 집단 내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Table 3).
Table 3.
The difference of bone mineral density depends on the pilates and core stability program
Group Apply Training Program Within group Interaction effect
Pre Post
Bone Mineral Density (unit: g/cm2)
       PG a (n=17) 0.81±0.14 0.82±0.14 t=−1.369, p=.190 F=1.386
       CSG b (n=17) 0.83±0.09 0.84±0.08 t=−1.664, p=.116 p=.261
       CON c (n=12) 0.80±0.11 0.80±0.09 t=0.620, p=.548
       Between group F=0.156, p=.856 F=0.455, p=.637
       Post-hoc
T-Score
       PG a (n=17) −2.17±1.32 - −2.10±1.27 t=−1.289, p=.216 F=1.642
       CSG b (n=17) −2.02±0.81 - −1.91±0.74 t=−1.941, p=.070 p=.206
       CON c (n=12) −2.21±1.03 - −2.27±0.85 t=0.667, p=.518
       Between group F=0.135, p=.874 F=0.455, p=.638
       Post-hoc
Z-Score
       PG a (n=17) −0.48±1.43 - −0.41±1.37 t=−1.280, p=.219 F=1.547
       CSG b (n=17) −0.36±0.81 - −0.24±0.73 t=−2.063, p=.056 p=.224
       CON c (n=12) −0.46±0.96 - −0.51±0.83 t=0.572, p=.579
       Between group F=0.057, p=.944 F=0.249, p=.78
       Post-hoc

Values express as mean±standard deviation.

PG, Pilates training group; CSG, core stability training group; CON, control.

2.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 변화

8주간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과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그룹 간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를 확인한 결과(Table 4),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의 균형부분 점수와 총 점수에서 필라테스운동그룹(각각 13.24±2.22점과 23.82±3.49점)이 대조그룹(각각 10.67±2.99점과 20.17±4.09점)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각각 F=4.013, p =.025와 F=3.804, p =.030).
Table 4.
The difference of Tinetti POMA depends on the pilates and core stability program
Group Apply Training Program Within group Interaction effect
Pre Post
Balance Score (Unit: Points)
     PG a (n=17) 11.94±2.68 13.24±2.22 t= −4.224, p=.001 F=5.870
     CSG b (n=17) 10.71±2.37 11.88±2.18 t= −3.922, p=.001 p=.006
     CON c (n=12) 10.75±2.96 10.67±2.99 t=0.364, p=.723
     Between group F=1.136, p=.331 F=4.013, p=.025
     Post-hoc a>c∗∗
Gait Score (Unit: Points)
     PG a (n=17) 10.06±1.64 10.59±1.66 t= −3.497, p=.003 F=10.358
     CSG b (n=17) 10.41±1.80 10.41±1.80 t=0.000, p=1.000 p=.001
     CON c (n=12) 9.50±2.28 9.50±2.28 t=0.000, p=1.000
     Between group F=0.828, p=.444 F=1.282, p=.288
     Post-hoc
Total Score (Unit: Points)
     PG a (n=17) 22.00±3.64 23.82±3.49 t= −5.845, p=.001 F=9.585
     CSG b (n=17) 21.12±3.52 22.29±3.10 t= −3.922, p=.001 p=.001
     CON c (n=12) 20.25±4.16 20.17±4.09 t=0.364, p=.723
     Between group F=0.782, p=.464 F=3.804, p=.030
     Post-hoc a>c∗∗

Values express as mean±standard deviation.

PG, Pilates training; CSG, core stability training; CON, control.

∗<.05; ∗∗<.01.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는 균형부분과 보행부분의 점수와 총 점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각각 F=5.870, p =.006; F=10.358, p =.001; F=9.585, p =.00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필라테스운동그룹은 모든 변인에서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각각 13.24±2.22점과 10.59±1.66점, 23.82±3.49점)가 적용 전(각각11.94±2.68점과 10.06±1.64점, 22.00±3.64점)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각각 t=−4.224, p =.001; t=−3.497, p =.003; t=−5.845, p =.001), 코어안정성운동그룹에서도 운동프로그램 적용 후의 균형부분 점수(11.88±2.18점)와 총 점수(22.29±3.10점)가 적용 전(각각 10.71±2.37점과 21.12±3.52점)보다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각각 t=−3.922, p =.001와 t=−3.922, p =.001).

3.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균형능력 변화

8주간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과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그룹 간 균형능력 변화를 확인한 결과(Table 5), 정적 균형능력과 동적 균형능력 모두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의 정적 균형능력은 필라테스운동그룹(1,170.88±826.45점)이 코어안정성운동그룹(1,733.12±947.12점)과 대조그룹(2,760.67±1,449.95점)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F=7.940, p =.001), 동적균형능력은 필라테스운동그룹(3,214.88±1,401.50점)과 코어안정성운동그룹(4,078.65±1,413.80점)이 대조그룹(6,033.83±1,866.77점)보다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F=12.020, p =.001).
Table 5.
The difference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depends on the pilates and core stability program
Group Apply Training Program Within group Interaction effect
Pre Post
Static (Unit: point)
     PGa (n=17) 1,908.06±773.82 1,170.88±826.45 t=5.056, p=.001 F=4.332
     CSGb (n=17) 2,449.12±1,095.36 1,733.12±947.12 t=8.941, p=.001 p=.019
     CONc (n=12) 2,969.58±1,606.73 2,760.67±1,449.95 t=1.159, p=.271
     Between group F=3.023, p=.059 F=7.940, p=.001
     Post-hoc c>a,b∗∗
b>a∗∗
Dynamic (Unit: point)
     PGa (n=17) 4,807.00±1,704.02 3,214.88±1,401.50 t=5.380, p=.001 F=9.364
     CSGb (n=17) 5,460.06±1,884.02 4,078.65±1,413.80 t=7.163, p=.001 p=.001
     CONc (n=12) 5,978.50±1,840.40 6,033.83±1,866.77 t=−0.162, p=.874
     Between group F=1.524, p=.229 F=12.020, p=.001
     Post-hoc c>a,b∗∗

Values express as mean±standard deviation.

PG, Pilates training; CSG, core stability training; CON: control.

∗<.05; ∗∗<.01.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는 정적균형능력과 동적균형능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각각 F=4.332, p =.019와 F=9.364, p =.001). 필라테스운동그룹은 정적 및 동적균형능력에서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각각 1,908.06±773.82점과 4,078.65±1,413.80점)보다 적용 후(각각, 1,170.88±826.45점과 3,214.88±1,401.50점)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각각 t=5.056, p =.001와 t=5.380, p =.001), 코어안정성운동그룹 또한 정적균형능력과 동적균형능력 모두 프로그램 적용 전(각각 2,449.12±1,095.36점과 5,460.06±1,884.02점)보다 적용 후(각각 1,733.12±947.12점과 4,807.00±1,704.02점)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각각 t=8.941, p =.001와 t=7.163, p =.001).

논 의

본 연구는 노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8주간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과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골밀도와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 및 균형능력을 비교분석한 결과, 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 또는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은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 점수와 균형능력을 긍정적으로 개선하였으며, 특히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의 경우, 취약골절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골밀도 감소는 폐경기 이후 가속되는데, 골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동프로그램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29]. 45-85세까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24주간 유산소성 댄스스포츠운동을 실시한 결과, 허리뼈의 골밀도에는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넙다리뼈목의 골밀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30],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12주 이상의 저항운동을 실시한 12편의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한 연구에서도 저항운동과 허리부위와 넙다리뼈목의 골밀도는 높아졌으나 큰돌기(trochanter)의 골밀도와 연관성을 확인할 수 없다고 설명하였다[31]. 평균 65세 여성을 대상으로 고강도 점프를 기반으로 하는 수중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에서도 24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허리뼈와 넙다리뼈의 골밀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32], 노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6개월간 필라테스 운동을 실시한 결과 허리뼈와 넙다리뼈의 큰돌기(trochanter) 골밀도는 개선되었지만 다른 부위에서는 골밀도에 대한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고되었다[33].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라 골감소증이라 판단되는 본 연구의 대상자에게 필라테스운동과 코어안정성운동 적용은 허리뼈의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겉질뼈(피질골, cortical bone)와 갯솜뼈(해면골, cancellous bone)의 리모델링 주기가 각각 120일과 200일인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34], 추후 연구에서는 6개월 이상의 장기간 운동중재 후 골밀도의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뼈의 긴장성 자극(tensional stimuli)을 통해 골형성 반응을 유도하여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저항운동[35] 등 다양한 운동프로그램과 그 효과를 비교한다면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예방에 있어 구체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균형능력은 노인의 건강을 유지함에 있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으로, 65-69세 노인의 13%가 균형장애(balance disorder)를 경험하고 85세 이상에서는 그 비율이 46%까지 증가되며, 이는 보행장애(gait disorder)로 이어지게 된다[36]. 61-70세 여성을 대상으로 30주간 주 5회(1회 30분 소요)의 빈도로 코어안정성 운동을 실시한 결과, 정적 및 동적균형능력이 향상되었고[37], 평균 64세 노인을 대상으로 13주간 주 3회(1회 50분 소요)의 빈도로 필라테스 훈련을 실시한 후 균형능력이 향상되었다[38]. 8주간 주 3회(1회 50분 소요)의 빈도로 필라테스 및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본 연구에서도 정적 및 동적균형능력이 향상되었는데, 특히 정적균형능력의 경우 코어안정성 운동보다 필라테스 운동 후에 더 향상됨을 보였다. 필라테스 운동과 코어안정성 운동 모두 다른 운동과 유사하게 노인의 균형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는 현재 노인의 낙상 위험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 높은 특이도(specificity)를 보이며, 낙상 예방을 위한 중재(intervention)가 필요한 노인을 선별하는 데에 유용한 도구이다[39]. 60-78세 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주 2회(1회 60분 소요)의 빈도로 필라테스 훈련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점수 중 균형부분의 점수가 높아진 것을 보고하였고[40], 한 고찰연구에서도 노인에게 적용한 필라테스 운동이 균형능력 향상을 통해 낙상위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41],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6주간 주 2회(1회 18분-30분 소요)의 빈도로 바이오레스큐(BioRescue)를 사용한 균형훈련은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점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42]. 8주간 주 3회(1회 50분 소요)의 빈도로 필라테스 및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본 연구에서도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 중 균형부분이 향상됨을 보였고, 필라테스 운동 후에는 Tinetti 실행지향움직임평가 중 보행부분의 점수가 높아진 것이 확인되었는데, 무게중심(center of mass)과 지지기저면(base of support)의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보행능력을 향상하는 데에는 공간에서 신체 움직임을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필라테스 운동이 더 효과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43]. 추후 연구에서는 보행의 매개변수(parameter)를 통한 운동의 효과를 확인한다면 운동의 보행능력 향상에 대한 기전(mechanism)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년기에 있어 규칙적인 운동은 심혈관 질환 감소, 신체기능 향상, 정신건강, 우울증 감소, 인지기능 향상 등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이득을 제공한다[44]. 특히, 노인 사망사고의 원인 중 56%를 차지하는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운동처방이 강조되고[35], 낙상으로 인한 취약골절을 예방하기 위해 골밀도를 증가하거나 골밀도 감소 속도를 지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운동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체중을 이용한 대표적인 운동방법인 8주간 필라테스운동과 코어안정화 운동을 실시하여 골밀도와 낙상위험요인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균형능력과 보행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여 6개월 이상의 장기간 시행된 운동효과를 확인한다면 낙상예방을 통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건강한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주 3회 빈도의 필라테스 운동프로그램과 코어안정성 운동프로그램 적용은 골밀도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낙상위험요인을 긍정적으로 개선하였으며, 특히, 필라테스 운동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Conflict of Interest

이 논문 작성에 있어서 어떠한 조직으로부터 재정을 포함한 일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논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힌다.

AUTHOR CONTRIBUTION

Conceptualization: R Ma, T Kim, Data curation: R Ma, Y Kim, For-mal analysis: R Ma, T Kim, Methodology: R Ma, T Kim, Project admin-istration: T Kim, Visualization: Y Kim, Writing - original draft: R Ma, Y Kim, T Kim, Writing - review & editing: R Ma, Y Kim, T Kim

REFERENCES

1. Faienza MF, Ventura A, Marzano F, Cavallo L.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he role of immune system cells. DOAJ. 2013;2013:575936.
crossref pmid pmc pdf
2. Muraki S. Diet, exercise and bone metabolism. NCBI. 2011;21:715-9.

3. Camacho PM, Petak SM, Binkley N, Diab DL, Eldeiry LS, et al.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american college of endocrin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2020 update. AACA. 2020;26:1-46.
crossref pmid
4. Zhou J, Liu B, Qin M, Liu J. Fall prevention and anti-osteoporosis in osteopenia patients of 80 years of age and older: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S. 2020;12:890-9.
crossref pmid pmc pdf
5. Li W, Chen Y, Yang R, Tsauo J. Effects of exercise programmes on quality of life in osteoporotic and osteopenic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Rehabil. 2009;23:888-96.
crossref pmid pdf
6. Holloway D. Update on non-hormonal treatment options during the menopause. Nurse Prescribing. 2017;15:28-32.
crossref
7. Beck BR, Daly RM, Singh MAF, Taaffe DR. Exercise and sports science australia (ESSA) position statement on exercise prescription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SMA. 2017;20:438-45.
crossref pmid
8. Bhasin S, Gill TM, Reuben DB, Latham NK, Ganz DA, et al. A randomized trial of a multifactorial strategy to prevent serious fall injuries. N Engl J Med. 2020;383:129-40.
pmid pmc
9. World Health Organization. Ageing, life course unit. WHO global report on falls prevention in older ag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10. Sherrington C, Fairhall NJ, Wallbank GK, Tiedemann A, Michaleff ZA, et al. Exercise for preventing falls in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9.
crossref pmid
11. Shankar KN, Liu SW, Ganz DA.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fall-related injuries in older adults, 2003–2010. WestJEM. 2017;18:785.
crossref pmid pmc
12. Rubenstein LZ. Falls in older people: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Age Ageing. 2006;35:ii37-41.
crossref pmid
13. Jahantabi-Nejad S, Azad A. Predictive accuracy of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for fall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MJRI. 2019;33:38.
crossref
14. Schoene D, Heller C, Aung YN, Sieber CC, Kemmler W,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the influence of fear of falling on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is there a role for falls? Clin Interv Aging. 2019;14:701.
pmid pmc
15. Campbell AJ, Robertson MC, Gardner MM, Norton RN, Buchner DM. Falls prevention over 2 yea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women 80 years and older. Age Ageing. 1999;28:513-8.
crossref pmid
16. Eckardt N. Lower-extremity resistance training on unstable surfaces improves proxies of muscle strength, power and balance in healthy older adults: a randomised control trial. BMC Geriatrics. 2016;16:1-15.
crossref pmid pmc pdf
17. Thomas E, Battaglia G, Patti A, Brusa J, Leonardi V, et al.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balance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a systematic review. Medicine. 2019;98:e16218.
pmid pmc
18. Ge L, Huang H, Yu Q, Li Y, Li X, et al.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older women with low ba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APA. 2022;19:1-9.
crossref pmid pmc pdf
19. Amiri B, Sahebozamani M, Sedighi B. The effects of 10-week core stability training on balance in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according to expanded disability status scale: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Phys Rehabil Med. 2019;55:199-208.
crossref pmid
20. Wells C, Kolt GS, Bialocerkowski A. Defining pilates exercise: a systematic review. Complement Ther Med. 2012;20:253-62.
crossref pmid
21. Aibar-Almazán A, Martínez-Amat A, Cruz-Díaz D, De la Torre-Cruz, Manuel J, et al. Effects of pilates on fall risk factor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JSS. 2019;19:1386-94.
crossref pmid
22. Goedert A, Bento PCB, Rodacki ALF. The effect of pilates practice on balance in elderly: a systematic review. RBAFS. 2018;23:1-7.
crossref pdf
23. King MB, Whipple RH, Gruman CA, Judge JO, Schmidt JA, et al. The performance enhancement project: improving physical performance in older persons.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060-9.
crossref pmid
24. Cosman F, de Beur SJ, LeBoff M, Lewiecki E, Tanner B, et al. Clini-cian's guide to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Osteoporosis Int. 2014;25:2359-81.
crossref pmid pmc pdf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meeting held in Rome from 22 to 25 June 1992].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26. Tinetti ME. Performance-oriented assessment of mobility problems in elderly patients. J Am Geriatr Soc. 1986.
crossref pmid
27. Karatekin BD, Yasin S, Yumusakhuylu Y, Bayram F, Icagasioglu A. Va-lidity of the korebalance® balance system in patients with postmenopausal osteoporosis. MEDJ. 2020;35:79.
pmid pmc
28. de Araujo Cazotti L, Jones A, Roger-Silva D, Ribeiro LHC, Natour J. Effectiveness of the pilates metho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mechanical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18;99:1740-6.
crossref pmid
29. Hamaguchi K, Kurihara T, Fujimoto M, Iemitsu M, Sato K, et al. The effects of low-repetition and light-load power 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sarcopenia: a pilot study. BMC Geriatrics. 2017;17:1-7.
crossref pmid pmc pdf
30. Yu P, Hsu W, Hsu W, Kuo L, Lin Z, et al. The effects of high impact exercise intervention on bone mineral density,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Medicine. 2019;98:11-5.

31. Namkung J, Park 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stance training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elderly: a meta-analytic approach. Int J Appl Sports Sci. 2019;31:175-85.
crossref pdf
32. Aboarrage Junior AM, Teixeira, Cauê V La Scala, Dos Santos RN, Machado AF, et al. A high-intensity jump-based aquatic exercise program improves bone mineral density and functional fitness in postmenopausal women. IJASS. 2018;21:535-40.
crossref pmid
33. de Oliveira LC, de Oliveira RG, de Almeida Pires-Oliveira. Deise Apa-recida.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versus pilates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a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 APTA Geriatrics. 2019;42:E23-31.
crossref pmid
34. Eriksen EF. Cellular mechanisms of bone remodeling. REMD. 2010;11:219-27.
crossref pmid pmc
35. Watson SL, Weeks BK, Weis LJ, Harding AT, Horan SA, et al. High-in-tensity resistance and impact training improves bone mineral density and physical functio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enia and osteoporosis: the LIFTM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BMR. 2018;33:211-20.
crossref pmid pdf
36. Osoba MY, Rao AK, Agrawal SK, Lalwani AK. Balance and gait in the elderly: A contemporary review. LIO. 2019;4:143-53.
crossref pmid pmc pdf
37. Shi Z, Zhou J. Effect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balance in elderly women. FMCH. 2014;2:48-52.
crossref
38. Patti A, Zangla D, Sahin FN, Cataldi S, Lavanco G, et al. Physical exercise and prevention of falls. Effects of a pilates training method com-pared with a general physical activity progra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dicine. 2021;100:e25289.
pmid pmc
39. Knobe M, Giesen M, Plate S, Gradl-Dietsch G, Buecking B, et al. The Aachen Mobility and Balance Index to measure physiological falls risk: a comparison with the Tinetti POMA Scale. ESTES. 2016;42:537-45.
crossref pmid pdf
40. de Siqueira Rodrigues, Brena Guedes, Cader SA, Torres, Natáli Valim Oliver Bento, et al. Pilates method in personal autonomy, static balance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females. J Bodywork Movement Ther. 2010;14:195-202.
crossref pmid
41. Barker AL, Bird ML, Talevski J. Effect of pilates exercise for improving balance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Arch Phys Med Rehabil. 2015;96:715-23.
crossref pmid
42. Delbroek T, Vermeylen W, Spildooren J. The effect of cognitive-motor dual task training with the biorescue force platform on cognition, balance and dual task performance i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PTS. 2017;29:1137-43.
crossref pmid pmc
43. Lugade V, Lin V, Chou L. Center of mass and base of support interaction during gait. Gait Posture. 2011;33:406-11.
crossref pmid
44. Muchiri WA, Olutende OM, Kweyu IW, Vurigwa E. Meaning of physical activities for the elderly: a review. AJSSM. 2018;6:79-83.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pt. of Healthcare and Science, Dong-A University, 37, Nakdong-daero 550beon-gil, Saha-gu, Busan 49315, Korea
TEL: +82-51-200-7517   E-mail: editor@ksep-es.org
Editorial Assistant: Taewan Kim +82-10-4019-0208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