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jugated Linoleic Acid 섭취가 보디빌딩 훈련시 신체구성과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최자영, 김상현, 김기진 |
계명대학교 |
Th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take on body composition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bodybuilding training |
|
|
|
|
|
ABSTRACT |
본 연구는 보디빌딩훈련과 CLA섭취를 통하여 신체구성과 근기능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남자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Placebo(Pla), Placebo+exercise(Pla+EX), Exercise (EX), CLA, CLA+exercise(C+EX)그룹으로 분류한 후 프로그램 전․후에 신체구성 관련변인(체중, %fat, BMI, 신체둘레, 피하지방두께 그리고 DEXA)과 Cybex를 이용한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신체적 특성에서 %fat이 EX 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체중과 BMI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피하지방 두께는 CLA, C+EX와 EX 그룹에서 상완삼두근, 장골능 상부 및 대퇴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신체둘레의 요위에서 C+EX, EX 그룹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신체부위별 지방량은 Pla+EX 그룹이 모든 부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la 그룹은 다리 부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신체부위별 제지방량은 Pla+EX, C+EX와 EX 그룹이 팔 부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기능은 C+EX 그룹이 좌측 신근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CLA 그룹은 좌측신근력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위약을 섭취할 경우 신체구성과 근기능의 변화에 큰 효과가 없는 것과는 다르게 CLA를 섭취할 경우 몇몇 부위에서 약간의 체지방량 감소를 나타냈으며, 보디빌딩 훈련과 병행할 경우 근기능에도 약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ey words:
CLA, 신체구성, 근기능 |
|